생성형 AI 및 한국의 대통령

HYEONG HWAN, MUN/ 1월 7, 2025/ 미분류/ 0 comments

https://blog.lael.be/post/12273

AI의 시대가 도래했다. 오래 걸릴 줄 알았는데, AI의 성능이 워낙 좋아서, 순식간에 AI의 시대가 되었다.

최근 어느 자료 통계를 봤는데, ChatGPT가 검색엔진으로 분류되어 있더라. 국내 이용률도 8위 정도 되었음.

즉, 요즘엔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하지 않고 GPT에 물어보는 추세라는 것이다.

 

아무튼 AI 엔진을 구동하기 위해 그래픽카드를 구매했다.
클라우드에서 AI를 실행해 본 결과, VRAM이 10기가 이상은 되어야 쓸만하다는 결론을 얻었고, 4070티슈를 구매했다. (16GB VRAM)

 


LLM AI 모델

페이스북AI 인데,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해 주지 않기 때문에, 다른 언어가 섞이는게 특징이다.
장황한 부연설명을 하는데, 별로였음.

 

MS Copilot 은 실시간 현재의 상황에 적절한 대답을 하더라.
한국의 대통령 이라고 입력했는데, 탄핵 이라고 답함. 대단함.

 

이것도 역시 MS 인데, MS ChatGPT 의 경우, 질문자의 의도를 이해하는듯 보였음.
나는 wiki 내용 같이 사전적인 내용이 궁금했음.

 


Text to image

seoul city, night 이라고 입력하니까 위의 이미지를 생성해 주었다. flux schnell 모델.


요즘, AI 프롬프팅 전문가는 차고 넘쳐나니까, 컴퓨팅 인프라를 다루는 사람으로써 경쟁력을 가지려면, 이런거나 연습해봐야지.
빠르게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적절한 AI Model을 고르는 능력도 있으면 더 좋다.

CLIP (Contrastive Language–Image Pre-training) 이라던가 VAE(Variational AutoEncoder) 라던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 있다.
학술적으로 알 필요는 없고, 각 특성을 파악하고 어느 것과 어느 것을 조합해서 결과를 만들지 알아두는게 좋을 것 같다.


얼마나 대충 답하느냐가 경쟁력으로 보였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처럼 자원을 과다 할당하면, 어느시점부터 이상한 답을 생성하더라.

 

가장 좋았던 AI는 Image upscaling ai 이었다.

저 해상도의 흐릿한 이미지크고 선명하게 바꾸어주더라.
비어있는 정보를 상당히 그럴듯하게 매꿔서 동작하더라. 매우 신기함. 웹 서비스로 만들면 수요가 있으려나.

Leave a Comment

작성하신 댓글은 관리자의 수동 승인 후 게시됩니다.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
*
*